환경부에서 제공하는 재활용 폐기물 분리배출 가이드라인에 따라, 올바른 재활용 폐기물 분리수거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재활용 폐기물은 내용물을 꼼꼼하게 씻어내고, 재질이 다른 것들은 분리해서 버리는 것이 기본 원칙입니다. 종이류, 플라스틱류, 금속류, 유리류, 음식물류 등 각각의 재활용품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배출해야 합니다. 일부 품목은 전용 수거함에 버려야 하기도 합니다. 귀찮아서 넘어가다가 과태료 폭탄 맞을 수도 있으니, 분리수거에 조금 더 신경써보도록 할까요?
기본원칙
가장 기본적인 원칙은 '내용물을 씻어서 내놓는다'와 '재질이 다를 경우 분리해서 버린다'입니다. 이러한 원칙을 지키면서 적절한 방법으로 폐기물을 분리 수거하면, 지구를 지키는 환경 활동의 일원이 될 수 있습니다.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분리수거
일반적으로 재활용 폐기물은 종류에 따라서 분리수거가 필요합니다. 종이류, 플라스틱류, 금속류, 유리류, 음식물류 등 각각의 재활용품은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배출해야 합니다.
1) 폐페트병(음료, 생수) : 내용물을 비우고 라벨을 제거한 후 찌그러트린 다음 투명페트와 유색(기타 플라스틱)으로 분리해 지정된 배출함에 넣어줍니다.
2) 골판지 박스 : 택배박스나 물건을 사면서 담아온 박스 등을 분리배출 할 때엔, 반드시 택배 송장 스티커와 테이프를 제거한 다음 버리셔야 합니다. 이 때 이물질이 혼합되지 않도록 접어서 배출합니다.
3) 신문이나 책자류 : 이때, 가장 고민이 되는 것은 바로 스프링 노트입니다. 스프링 등 종이류와 다른 재질의 것은 제거한 다음 배출해주셔야 합니다.
4) 종이팩 : 종이팩은 일반 종이류와 구분합니다. 종이팩은 종이팩 전용 수거함에 따로 배출해주세요. 수거함이 없을 경우엔 묶어서 종이류로 배출할 수 있습니다.
5) 플라스틱류 : 반드시 이물질과 물기를 제거한 후 재활용품으로 배출합니다. 재질별로 분리하여 배출해야 하는데, 용기 음료의 경우 은박지를 제거한 다음에 버려야 하고, 물티슈의 경우 물티슈의 뚜껑부분인 캡은 따로 분리배출하셔야 합니다.
6) 기타 : 스티로폼 박스라든지, 배달용기 등의 경우 부착물은 종량봉투에 담아 배출하고 본체는 재활용품으로 배출합니다. 또한, 금속류는 알루미늄과 철제품으로 나누어야 하며, 유리류는 깨지지 않도록 조심해서 배출해야 합니다. 또한, 일부 품목은 전용 수거함에 버려야 합니다. 예를 들어, 폐형광등, 폐건전지, 폐의류 등은 전용 수거함에 버려야 하며, 이를 방치하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생활 속 밀접한 재활용 폐기물 분리수거
이제부터 알려드리는 내용은, 우리 생활과 정말 밀접한 재활용품인 척하는 쓰레기에 대한 안내입니다. 아래에 알려드리는 내용은 종량제 봉투를 사용하여 버려주셔야 하며, 출력하셔서 부엌 어느 한 켠에 붙여놓고 확인하시면 더 좋으실 거 같아요!
재활용 폐기물을 분리 배출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내용물이 나가지 않도록 꼼꼼하게 씻어내는 것입니다. 물론, 일부 품목은 씻어내지 않아도 된다는 것도 있습니다. 하지만, 대체로 내용물이 있는 경우 재활용이 어려워지기 때문에 꼼꼼하게 씻어내는 것이 좋습니다. 아래 내용은 재활용품인 척하는 일반쓰레기입니다. 대부분은 집으로 배달해서 맛있게 드시는 야식이라든지, 음식물을 포장한 용기가 해당되는 것 같습니다.
저는 플리스틱으로 배출이 가능한 줄 알았던 과일망과 과일포장재가 일반쓰레기라는 사실이 좀 새로웠습니다. 그리고, 크록스와 같은 탄성이 들어간 제품들의 경우 재질이 혼합되어 있어 재활용이 어렵다고 하니, 크록스나 삼선 슬리퍼 등은 일반쓰레기로 버려주세요.
사실, 분리수거에 대해 궁금해지는 것이 이것 뿐일까요? 치약이나 세안제가 들어있는 튜브의 경우는 어떨까요? 보통 치약은 플라스틱 OTHER류로 만들어져 있어서 내용물을 다 쓴 다음에 표면에 적혀져있는 분류대로 분리 배출하면 된답니다. 이때에는 뚜껑과 내용물을 담았던 부분으로 분리해서 버리면 되겠죠?
욕실에서 사용하는 샤워커튼은 어떤가요? 샤워커튼의 경우 그냥 일반쓰레기로 버릴 것 같지만, 샤워커튼은 방수를 위해 PVC소재로 만들어져 있어서 헌옷수거함이나 일반쓰레기가 아닌, 비닐 수거함에 넣는 것이 맞다고 합니다. 이 때, 물기를 말려서 배출하는 것이 좋겠죠?
칫솔은 종량제 봉투에 버려야 하고, 화장실용 슬리퍼의 경우에도 위의 이미지에서 보신 것처럼 재질이 혼합되어 있어 재활용이 불가하기 때문에 일반쓰레기로 버려야 합니다.
방향제나, 제습제는 어떤가요? 담겨진 통은 플라스틱으로, 안의 내용물 중 젤리형은 젤리만 따로 종량제에 버려야 합니다 .제습제의 경우 통안의 물은 다 버리고, 물기를 말린 다음 플라스틱으로 분리배출해야하는 것이 맞습니다.
샤워기 헤드나 수도꼭지는, 알루미늄이나 스테인리스 등의 제품이라면 고철류로 분리해서 배출해야겠죠? 단독주택에선 별도로 플라스틱류 등과 분리해서 배출하면 수거하시는 분이 편하실 꺼에요. 금속 외의 재질이 붙은 부분은 종량제 봉투를 이용합니다.
그럼, 주방에서 사용하는 품목들은 어떤가요? 재활용품 분리수거는 정말 쉽지 않은 작업입니다. 그래서 많은 분들이 미니멀라이프를 하기도 하시고, 어떤 분들중엔 제로 웨이스트 운동을 실천하시는 분들도 계세요.
알맞은 소비와, 현명한 분리배출로 환경까지 생각하는 똑똑한 소비자가 되어 봅시다! 감사합니다~
같이 읽어보면 좋은 글을 추천합니다.
이불 버리는 법 폐기물 Vs 일반쓰레기 Vs 재활용 헷갈리는 이불정리
계절이 바뀌거나 집안 대청소, 혹은 이사를 준비하다보면, 사용하지 않은채 몇년을 보관만 하고 있거나, 낡아서 안쓰거나, 또는 오염이 심해져서 더이상 이불을 사용할 수 없을 때가 있어요. 어
smilesense.tistory.com
신발 버리는 법 2가지 팁 운동화 구두 슬리퍼 크록스 분리수거 • MINIEON's 살림노트
신발은 무조건 의류수거함 아닌가요? 라며 지금 신발을 버릴 준비를 하시는 분께 신발 버리는 법에 대해 2가지 팁을 알려드립니다. 운동화, 구두, 슬리퍼, 크록스와 같이 신발 종류도 다양한데..
minieon.com
'일상생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장마철 곰팡이 대처 방법 | 깨끗한 벽지 유지를 위한 7가지 팁 (0) | 2023.07.29 |
---|---|
강북구 대형폐기물 무상수거 종류 신청 방법 및 수수료 안내 (1) | 2023.07.28 |
서울 ㅣ 슬기로운 음식물쓰레기 분리배출 배출방법 안내 (0) | 2023.07.28 |
이불 버리는 법 폐기물 Vs 일반쓰레기 Vs 재활용 헷갈리는 이불정리 (0) | 2023.07.26 |
태풍 독수리 예상 경로 및 우리나라도 지나가나? (2)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