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부정책 팁

2025년 놓쳐서는 안될 연말정산 변경 사항 7가지

by smilesense 2025. 1. 6.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5년 연말정산의 주요 변경 사항을 정리해서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꼭 확인하셔서 모든 혜택을 챙기시길 바랍니다.

 

2025년 연말정산에서는 다양한 세제 혜택이 확대되고, 새로운 공제가 신설되었습니다. 특히 무주택자와 자녀를 둔 가구에 유리한 변화들이 많으니, 꼼꼼히 확인해보세요!

 


월세 세액공제

총급여 8,000만 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를 대상으로 소득 기준이 상향되었습니다.

공제 한도도 기존 750만 원에서 1,000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주택청약 소득공제

총급여 7,000만 원 이하의 무주택 세대주는 주택청약종합저축 소득공제 한도가 기존 240만 원에서 300만 원으로 늘어났습니다.

 

장기주택저당 이자 상환액 공제

10년 이상 고정금리 또는 비거치식 분할상환 시 한도가 300만 원에서 600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15년 이상인 경우에는 기존 1,500만 원에서 1,800만 원으로 확대되었습니다.

 

의료비 세액공제

산후조리비 공제가 모든 근로자로 확대되었습니다.

6세 이하 부양가족의 의료비는 한도 없이 공제가 가능합니다.

 

장애인 활동 지원 급여 공제

장애인 활동 지원 급여 비용 중 본인 부담금에 대해 세액공제가 적용됩니다.

 

결혼 세액공제 신설

2026년까지 혼인신고를 한 부부는 최대 100만 원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습니다.

근로소득 또는 종합과세소득이 있는 부부 1인당 50만 원씩 공제됩니다. 초혼, 재혼 여부와 관계없이 생애 1회 한해 적용됩니다.

 

출산 보육 수당 비과세 한도

근로자 본인 또는 배우자의 출산, 6세 이하 자녀의 보육과 관련된 급여의 비과세 한도가 10만 원에서 20만 원으로 상향되었습니다.

 

자녀 세액공제 확대

자녀 1: 15만 원

자녀 2: 35만 원

자녀 3명 이상: 35만 원에 셋째 자녀부터 1인당 30만 원 추가 공제가 가능합니다.

 


이처럼 2025년 연말정산에서는 다양한 공제 혜택이 확대되었습니다. 본인의 상황에 맞는 항목을 꼼꼼히 체크하시고, 최대한 많은 혜택을 받아가세요!

 

 

포인트만 쏙쏙! 영상으로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반응형